국가안전보장회의 주재…“성주, 우려할 필요가 없는 안전한 지역”

박근혜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정쟁으로 국가안위 잃어버리면 더 이상 대한민국 존재하지 않을 것”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 “지금은 사드 배치와 관련된 불필요한 논쟁을 멈출 때”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검토를 한 결과 성주가 최적의 후보지라는 판단이 나오게 됐다. 오히려 우려한다는 것이 이상할 정도로 우려할 필요가 없는 안전한 지역”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오늘날 대한민국의 안보는 커다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해당사자 간에 충돌과 반목으로 정쟁이 나서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잃어버린다면 더 이상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결정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보다 더 중요한 가치는 없다는 판단 하에 한·미 동맹의 미사일 방어 능력을 시급히 강화해야 한다는 절박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주 기지는 다른 후보지에 비해 부지가 넓고 평탄해서 사드 장비를 안전기준에 맞게 배치할 수가 있고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해 중부 이남지역 대부분을 방어할 수 있다”며 “레이더 설치 지점도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는데다가 높은 고지에 있어서 레이더 전자파의 영향도 없다는 평가가 나왔다”고 밝혔다.

특히 박 대통령은 “여기에 배치되는 사드 레이더는 마을보다 400m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더군다나 그곳에서도 5도 각도 위로 발사가 되기 때문에 지상 약 700m 위로 전자파가 지나가게 된다”며 “따라서 인체나 농작물에 전혀 피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사드 배치 결정에 있어 한·미 양국은 수도권을 포함해서 대한민국 전역에 대해 미사일 방어능력을 가장 효율적으로 증강하는 방안도 검토를 했다”면서 “현재 수도권에 위협이 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주로 스커드 계열로 대체로 수도권 북방 100km에서 200km 지역에 배치가 돼 있다. 이 지역에서 수도권을 공격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비행고도가 낮고 비행시간이 짧기 때문에 사드보다는 패트리어트 미사일이 가장 적합한 대응 수단”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회의장에 배치된 방어개념도를 직접 가리키며 “중부 이남 지역은 현재의 패트리어트 전력에 사드가 추가 돼서 훨씬 더 강력한 다층 방어막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수도권과 중부 이남 지역을 포함한 대한민국 전역의 미사일 방어 체계가 획기적으로 강화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정부는 성주 기지에 사드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소통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며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안전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어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원 방안도 찾기를 바란다”며 “지역의원들과도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사드 배치의 안전성과 앞으로 지역이 원하는 안전하고 살기 좋은 곳을 만들 수 있도록 해서 국가 안위를 위해 지역을 할애해 준 주민들에게 보답해야 된다고 본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사드 배치 과정이 워낙 위중한 국가 안위와 국민 안전이 달린 문제라서 공개적으로 논의를 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며 “그동안 정부에서는 여러 지역을 놓고 고심을 계속해 왔고 마지막으로 배치 지역을 결정한 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다양한 선정 지역을 가지고 논의를 광범위 하게 하지 못한 것은 위중한 사안이라 어쩔 수 없었다는 것을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사드 배치 지역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생활에 아무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여야 지도부를 포함해서 의원들의 관심과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하면서 국가안보와 국민안전을 위한 협력을 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