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신경 등으로 통각 조절…우울증 등 정서질환 치료 기대

중변연계 시스템이 통증 감각을 조절하는 원리

뇌가 만성 통증을 조절하는 원리가 새로 밝혀졌다. 만성 통증 환자는 절반 넘게 우울증이 있는데, 이 연구결과는 만성 통증과 동반되는 우울증 등 정서질환에 대한 치료 기술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뇌연구원(원장 김경진)은 뇌질환연구부 구자욱 책임연구원과 중국 쉬저우의대의 준리 카우(Jun-Li Cao) 교수가 참여한 한·중 연구팀이 “뇌의 중변연계 보상회로 시스템(Mesolimbic reward system)이 통증 감각을 조절하는 새로운 원리를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연구는 신경과학 분야의 오픈액세스 국제저널인‘바이올로지컬 싸이키아트리(Biological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됐다.

공동 연구팀은 신경성 만성 통증을 갖고 있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뇌의 중변연계 시스템에 있는 도파민(Dopamine)* 신경세포와 뇌성장단백질(BDNF)*가 통각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광유전학* 등을 통해 밝혀냈다.

도파민 : 뇌에서 신경세포끼리 흥분 신호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신경전달물질로서, 주로 보상이나 쾌락에 관련된 흥분 신호를 매개한다.

광유전학(Optogenetics): 빛을 이용해 원하는 신경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술.

BDNF: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뇌유래신경성장인자)’의 약어로서, 뇌의 신경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중변연계는 뇌에서 보상을 담당하는 핵심 회로다. 통증 감각과 관련된 감정적 경험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인 원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중변연계는 기분과 감정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중격의지핵(NAc)과 복측피개부(VTA) 등으로 이뤄져 있다.

저작권자 © 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