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된다" 서로다른 방향에서 만나는 우리

[코리아방송/김효정 기자]이용우 시인은 1960년 충남 예산 출생으로, 2023년 '애지'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했으며, 현재 시원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동인으로서의 기대가 크다는게 주위 입소문이다.

이용우 시인[사진/코리아방송]
이용우 시인[사진/코리아방송]

 

이용우 시인의 첫 번째 시집인 "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된다"는 ‘나와 너’, ‘인간과 인간’, ‘적과 동지’, ‘선과 악’, ‘남과 여’, ‘좌익과 우익’ 등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을 극복하고, 그 종합적이고 총체적인 시선을 통해 이 세상의 사랑과 믿음과 행복을 추구하게 된다.

“詩는 본디 그 짧음이 격格이고 맵시다”라는 신념과 시론에 따라 그의 언어는 인간과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시금석試金石이 된다

"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된다" 라는 문장은 두 사람이 서로를 마주보고 있을 때 한 사람의 관점에서 보면 다른 사람의 서쪽은 자신의 동쪽이 된다. 이는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라려는 노력 혹은 두 사람 사이의 연결과 상호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용우 시집 "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된다"  출간 시집[사진/코리아방송]
이용우 시집 "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된다" 출간 시집[사진/코리아방송]

 

또한, 이문장은 동서남북이라는 개념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 수 있다. 동서남북은 각각 나무와 봄,불과 여름,금과 가을, 물과 겨울을 상징하며 각각의 방향이 특정한 의미와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된다"라는 문장은 두 사람의 관계, 그리고 그들이 서로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나타내는 시적 표현일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서로 다른 관점을 통합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도 있다.

너와 내가 주제에 헌신적으로 개입하면서 상상의 울림이 증폭되기도 한다. “너와 내가/ 마주 바라볼 때/ 너의 왼쪽 눈은/ 나의 오른쪽 눈을 본다” 처럼 대상을 따뜻하게 어루만지며 서로의 관계를 소통시킬 수 있다는 공간을 나타내주고 있다. 전문중에  “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되고// 그 사이에 섬이 있다지”라고 시인의 내밀한 고백이 시각적 회화성을 통해서 사랑을 노래한다. 섬이라는 절묘한 배치로 낯선 것을 익숙하게 그려내며 시인의 철학이 여실히 드러나기도 한다.

이용우 시집 "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된다" 는 현재 모든 인터넷 판매와 더불어 주변 시인들에게도 신선한 자극을 주고 있다.

결국 "너의 서쪽은 나의 동쪽이 된다"는 말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도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공간 시간 그리고 방향에서도 서로를 이해하고 지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저작권자 © 코리아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